Back-end Skill/DataBase 15

TIL 35일차 SQL 데이터베이스 #생성된 테이블 확인하기

member 테이블을 잘 생성했다면 일단! member 테이블에 어떤 컬럼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어떤 테이블에 컬럼 구조를 보려면 위 사진의 왼쪽 스키마 창에서 테이블 이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뜨는 세 아이콘 중에서 두번 째 아이콘을 클릭하면 됩니다 ! 그럼 아래에 멤버테이블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 ~!! 근데 mySQL 다크모드는 맥북에만 지원된다고 하네요? 조금 sad합니다...

TIL 34일차 SQL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생성해보기

My SQL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스키마라고도 합니다! 앞으로 우리가 접속할 MySQL 서버의 모든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 왼쪽! 스키마 영역에 보이게 될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SQL문에 대해 알아봅시다! CREAT DATABASE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라는 뜻인데요 그 뒤에 우리가 만들고 가공할 데이터 베이스의 이름을 적어주면됩니다! 저는 DANY로 정해볼게요! DANY의 데이터베이스들 중에서 메인으로 쓸 데이터베이스라는 의미로 dany_main이라고 지었습니다 ㅎㅎ 앗! SQL문을 실행하려면 번개버튼을 클릭도 하고 새로고침을 해야 dany_main이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보이겠죠~? 너무 너무 쉽죠.....?????!!!!!!!!!!

TIL 33일차 SQL - 스키마창에서 sys는 도대체 뭐야!

우리가 생성하지도 않았던 sys라는 데이터베이스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는데요.... 도대체 이건 뭘까요?! 바로 sys 데이터베이스는 MySQL 서버의 성능 관련 정보들을 갖고있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사실 DBMS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사용 용도가 크게 달라지는데요~ 직무별로 간단하게 구별해보자면 기획자/마케터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잘 분석해서 시장 및 고객을 분석 백엔드 개발자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데이터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조회 및 저장될 수 있도록 개발 및 관리정도가 되겠죠? 백엔드 개발자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DBMS가 성능 저하 없이 효율적으로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MySQL에서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

TIL 32일차 SQL 데이터베이스 #행과 열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본단위가 테이블이라고 합니다. 테이블은 표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학번 이름 전공 성별 20204171 김다은 국제무역학과 여 20202123 이지안 산업디자인학과 남 20160932 도경석 화학공학과 남 20198443 주하영 기계공학과 여 20198732 정나위 통계학과 남 어느 한 대학교의 학생정보를 정리한 것입니다. 학생들의 학번, 이름, 성별이 잘 정리되어있죠? 여기서! 테이블에 관해 꼭 알아야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위의 표를보면 표 한줄 한줄 이 한생 한명을 나타내는 정보라는 걸 알 수있습니다. 이렇게 어떤 개체 하나를 나타내는 단위를 로우(row)라고 합니다! 여기서 로우는 행이라는 뜻인데요~! 그러니까 위에 표는 5개의 로우가..

TIL 31일차 SQL 데이터베이스 #DBMS와 서버 - 클라이언트 구조

client(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용자가 server에 접속해서 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할 수 있도록, SQL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server(서버 프로그램) client로부터 SQL 문 등을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직접 처리하는 프로그램 (DBMS라고 할 때, 좁은 의미로 이 server 부분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어요!) 위 그림에서 여러 client들이 server에 접속하는 모습이 보이시죠? 대부분의 DBMS가 이런 식으로 client를 통해 server에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server 안에 DB(데이터베이스)가 포함돼있죠? 사실 데이터베이스는 DBMS와 분리된 것이 아니고!!! 이렇게 server가 직접 저장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