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OpenStack

[DevStack-마지막편] DevStack으로 배우는 OpenStack 설치 실습

Sophie소피 2025. 10. 25. 18:39

 

 

DevStack복잡한 오픈스택 시스템을 자동으로 설치하여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입니다.

특징:

  • 오픈스택 All-in-One 설치 제공
  • 다양한 프로젝트 구성 요소 확인 가능
  • 오픈스택을 처음 접하는 유저에게 추천

 

설치 전 준비

1️⃣ VirtualBox 설치하기

2️⃣ Ubuntu Server 24.04 LTS 다운로드

3️⃣ 가상머신 만들기 (VirtualBox 안에서)

  • 이름: devstack-openstack-korea
  • OS 종류: Linux / Ubuntu (64-bit)
  • 메모리: 4GB (4096MB)
  • 디스크: 100GB 이상
  • 저장 방식: “동적 할당”

💡 설정 → 시스템 → 프로세서 탭에서 CPU 2개로 변경하면 설치가 훨씬 빨라요.

항목 선택

설치 종류 Ubuntu Server
네트워크 자동으로 DHCP (기본값 그대로)
Proxy 비워두기
Storage Use entire disk (암호화 안 함)
사용자 이름 stack
비밀번호 stack1234 (예시)
OpenSSH Server ✅ 체크
Snaps 전부 선택 안 함

설치가 끝나면 CD(ISO) 제거 후 재부팅합니다.

 

 

SSH(원격 접속) 설정하기

VirtualBox 안의 우분투 화면에서 명령어 입력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openssh-server
sudo systemctl enable --now ssh
sudo reboot

재부팅 후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ssh

active (running) 이라고 뜨면 정상이에요!

 

 

 

Windows에서 접속 준비

이제 VirtualBox 설정으로 넘어가요

1️⃣ VM 선택 → 설정 > 네트워크 > 어댑터1 > 고급 > 포트 포워딩 클릭

2️⃣ 아래처럼 입력:

이름 프로토콜 호스트 포트 게스트 포트

SSH TCP 2222 22

 

 

이제 Windows PowerShell을 열고 접속해 봅시다 👇

ssh stack@localhost -p 2222

비밀번호: 설치 때 정한 stack1234

💡 이렇게 접속하면 복붙(Ctrl+V)도 가능하고 화면도 훨씬 편해요!

 

 

 

 

설치 사전 준비

 

 

DevStack 설치 Settings

DevStack 실행에 필요한 최소 설정(local.conf):

[[local|localrc]]
ADMIN_PASSWORD=openstack
DATABASE_PASSWORD=$ADMIN_PASSWORD
RABBIT_PASSWORD=$ADMIN_PASSWORD
SERVICE_PASSWORD=$ADMIN_PASSWORD
  • local.conf 샘플 파일은 devstack/samples 디렉토리에 있음
  • 복사 후 패스워드만 변경 → 기본 설치 가능

 

 

 

Stack 유저 생성

 

sudo useradd -U -G sudo -s /bin/bash -m stack
echo "stack ALL=(ALL) NOPASSWD:ALL" | sudo tee /etc/sudoers.d/stack
sudo passwd stack
sudo su - stack

DevStack은 stack 유저 환경에서 설치됩니다.

 

 

 

DevStack 다운로드 & 설치

우분투 터미널(SSH 접속 상태)에서 다음을 입력합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sudo apt install -y git vim net-tools curl wget python3-pip python3-venv

 

 

 

 

 

DevStack 다운로드

cd ~
git clone <https://opendev.org/openstack/devstack>
cd devstack

DevStack 설치 시작

./stack.sh
  • 처음엔 패키지를 많이 설치하느라 느립니다.
  • 설치 시간: 20~30분
  • 실패 시 다시 하려면
  • ./unstack.sh ./clean.sh ./stack.sh

설치 성공 확인

설치가 끝나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This is your host IP: 10.0.2.15
Horizon is now available at <http://10.0.2.15/dashboard>
Admin password: openstack

이제 브라우저에서 열어봅시다 👇

<http://10.0.2.15/dashboard>

 

아이디 admin
비밀번호 openstack

 

대시보드가 뜨면 성공!!

 

 

 

 

 설치가 안 될 때 꼭 확인하세요

문제 해결 방법

Could not determine host ip address local.conf의 HOST_IP 확인 (ip -4 a로 조회)
No space left on device 디스크 100GB 확보 필요
대시보드 접속 안 됨 ./rejoin-stack.sh 실행
터미널에서 복붙 안 됨 SSH(2222포트)로 접속하기

 

 

 

 VirtualBox 스냅샷 관리

VM 이름 확인

VBoxManage list vms

스냅샷 생성

VBoxManage snapshot "devstack-ubuntu" take "before_stack_install"

스냅샷 목록 확인

VBoxManage snapshot "devstack-ubuntu" list

스냅샷 복원

VBoxManage snapshot "devstack-ubuntu" restore "before_stack_install"

 

 

 

네트워크 설정

/etc/network/interfaces 예시 (호스트 전용 어댑터 static, 나머지 DHCP):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np0s3
iface enp0s3 inet static
    address 192.168.56.110
    network 192.168.56.0
    netmask 255.255.255.0

auto enp0s8
iface enp0s8 inet dhcp

auto enp0s9
iface enp0s9 inet dhcp
  • 호스트 전용 어댑터 → gateway 지정 금지 (충돌 방지)
  • 설정 후 네트워크 재시작
  •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ing ifconfig

설치 확인

  1. 설치 완료 후 출력된 IP 확인 (예: 192.168.56.110)
  2. 브라우저에서 접속
  3. <http://192.168.56.110/dashboard>
  4. 기본 계정
    • ID: admin 또는 demo
    • PW: openstack (local.conf에서 설정한 값)
  5. Horizon 대시보드 접속 후 인스턴스 생성 테스트
    • 이미지: cirros
    • Flavor: m1.tiny
    • 인스턴스 상태가 running이면 정상 설치 완료 🎉

설치 후 주의사항

  • DevStack 설치된 VM은 shutdown 대신 스냅샷 활용
  • VM 내부에서 종료 시 unstack.sh 사용
  • Git clone 시 원하는 branch(stable/ocata 등) checkout 필요
  • VirtualBox에서 32bit만 보이는 경우 → BIOS에서 Virtualization 활성화 & Hyper-V 비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