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penStack을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준비!
🎯 학습 목표
- 오픈스택 설치를 위한 기본 환경 준비
 - 가상 서버(Hypervisor) 설치 및 설정
 - 우분투 서버 설치
 -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 방법 이해
 
📌 Agenda
- 가상 서버 준비하기
 -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하기
 
1️⃣ 가상 서버 준비하기 – Hypervisor 설치 전 준비
▪ 최소 사양
- CPU : 4 core 이상 (i5급 이상 권장)
 - Memory : 4GB 이상
 - Disk : 500GB 이상
 
▪ 권장 사양
- Memory : 8GB 이상
 
예: VM 8개 × 1GB = 8GB 필요
2️⃣ 가상 서버 준비하기 – VirtualBox 설치
- VirtualBox.org 에서 최신 버전 다운로드
- Extension Pack도 함께 설치 필요

설치 절차
1. 다운로드 받은 파일 실행



2. 설치 옵션 기본 값 유지

이 화면은 Oracle VirtualBox 설치 중 네트워크 어댑터가 잠시 끊길 것이라는 경고창이에요 ⚠️

VirtualBox는 내부적으로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Virtual Network Adapter)”를 설치합니다.
이 과정에서 Windows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잠시 중단될 수 있어서,
현재 인터넷 연결이 몇 초간 끊길 수 있다 는 안내입니다.
👉 “Yes”를 눌러 설치 계속
지금 뜬 화면은 VirtualBox 설치 중의 "Missing Dependencies (필수 구성요소 누락)" 경고창이에요.

Oracle VirtualBox는 일부 Python 관련 기능(예: SDK나 스크립트 자동화) 을 사용하기 위해
- Python Core 패키지
 - win32api 바인딩 (pywin32 라이브러리) 이 필요할 수 있는데,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안내입니다.
 
👉 그냥 “Yes” 눌러도 전혀 문제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VirtualBox를 일반적으로 사용 (가상머신 실행/관리) 할 때는 이 Python 바인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건 VirtualBox를 Python으로 자동 제어하거나 스크립트로 관리하려는 개발자용 기능일 뿐이에요.
💡 만약 VirtualBox를 Python으로 제어하려는 경우라면
그때는 설치 후 아래 명령어로 패키지를 추가하면 됩니다:
pip install pywin32
그리고 Python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Python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해 주세요.
지금 보이는 화면은 Oracle VirtualBox 7.2.2 설치 중 “Custom Setup” 단계 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VirtualBox가 어디서 어떻게 실행될지 설정하는 부분이에요.
| Add to Start menu | 시작 메뉴에 VirtualBox 바로가기를 추가합니다. | ✅ (기본값 유지 추천) | 
| Create a desktop shortcut |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듭니다. | ✅ (원하면 체크 유지) | 
| Start by default when opening .ova or .ovf files | .ova 또는 .ovf 가상머신 파일을 더블클릭할 때 VirtualBox가 자동으로 열리게 합니다. | ✅ (DevStack이나 VM 파일 실습 시 유용) | 
✅ 그대로 두고 → “Next” 버튼 클릭 하면 됩니다.

3. 설치 완료 후 VirtualBox 실행

4. 파일 > 환경설정 > 확장→ Extension Pack 추가
- 다운로드된 .vbox-extpack 파일을 더블클릭합니다.
 - VirtualBox가 자동 실행되며 “설치하시겠습니까?” 창이 뜹니다.
 - “Install” → “동의(I Agree)” → 설치 완료.
 

지금 화면에 보이는
✅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항목이 등록되어 있고 버전이 7.2.2로 표시되고 있죠.
👉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된 상태예요!
3️⃣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 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
- Ubuntu.com → Server → LTS 버전 권장 (5년 지원)
 


▪ VM 생성 절차 (VirtualBox)
- 이름 : devstack-openstack-korea
 - 종류 : Linux → Ubuntu (64bit)
 - ISO 연결: 다운로드한 Ubuntu Image
 


RAM : 4GB
- VirtualBox 왼쪽에서 devstack-openstack-korea 선택
 - 상단의 ⚙️ 설정(Setting) 클릭
 - 왼쪽 메뉴에서 시스템(System) 선택
 - 상단 탭 중 마더보드(Motherboard) 클릭
 - 기본 메모리(Base Memory) 슬라이더를
 - 👉 4096MB 로 조정 (DevStack은 최소 4GB 권장)
 - 확인(OK) 클릭
 


Disk : 100GB
지금 쓰고 있는 VirtualBox 7.x 버전에서는 UI 구조가 바뀌어서
➡️ 예전처럼 이미 만든 VM의 디스크 크기를 GUI에서 수정할 수 없고,
➡️ 대신 명령어(VBoxManage) 로 확장해야 합니다.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modifymedium disk "C:\\Users\\username\\VirtualBox VMs\\devstack-openstack-korea\\devstack-openstack-korea.vdi" --resize 102400
- 102400 = 100GB (MB 단위).
 - VM은 반드시 전원 꺼짐 상태여야 합니다
 
확인하려면: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showmediuminfo "C:\\Users\\username\\VirtualBox VMs\\devstack-openstack-korea\\devstack-openstack-korea.vdi"

- 시작버튼 누르기



▪ 설치 과정 주요 항목
- 언어: English
 

- 키보드: US

순서대로 쭉 옵션들은 그대로 두고 → “Done” 선택 후 Enter 누르세요.

지금은 Profile configuration (사용자 계정 설정) 단계예요.
이 부분에서 입력하는 정보가 Ubuntu의 로그인 계정이 되며,
나중에 DevStack 설치 시에도 바로 이 계정을 사용하게 됩니다.
✅ DevStack 설치용 추천 설정
항목 입력 예시 설명
| Your name | daeun | 단순히 사용자 이름 (아무거나 가능) | 
| Your server's name | devstack | 호스트 이름 (VM 이름과 맞춰 두면 관리하기 편함) | 
| Pick a username | stack | ⚠️ DevStack 공식 설치 스크립트(stack.sh)는 stack 계정에서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 Choose a password | stack1234 | 자유롭게 설정 가능 (기억만 하면 됨) | 
| Confirm your password | stack1234 | 동일하게 입력 | 
💡 주의사항
- Username을 꼭 stack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이름이면 수동으로 권한과 환경을 수정해야 해서 번거로워요.
 - → DevStack은 설치 과정 중 /opt/stack 디렉토리와 stack 사용자를 기본 전제로 합니다.
 
✅ 입력 예시 요약
Your name: daeun
Your server's name: devstack
Pick a username: stack
Choose a password: stack1234
Confirm your password: stack1234
입력 후 “Done”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다음 화면에서 “Install OpenSSH server?” 라고 물어보면
→ “✅ Yes” 선택하세요.
(DevStack 설치 후 원격 접속이나 파일 전송할 때 꼭 필요합니다.)
Ubuntu 재부팅 → Rebot Now 클릭


잘되고 있는걸까…?(의심 의심)

아주 잘 되고 있는 거예요 💯
지금 메시지는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뒤의 마지막 단계예요.
✅ 의미 설명
[FAILED] Failed unmounting cdrom.mount - /cdrom.
Please remove the installation medium, then press ENTER:
이건 “설치 미디어(ISO 파일)를 제거하고 Enter를 누르세요”라는 뜻이에요.
즉, Ubuntu가 이미 설치 완료되었고
지금 ISO 파일(설치 DVD 역할)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어서 unmount가 안 되는 상태예요.
해결 방법
- VirtualBox 상단 메뉴에서“디스크 제거(제거 또는 Remove disk from virtual drive)” 선택 또는
 - 설정 → 저장소(Storage) → IDE 컨트롤러 밑의 Ubuntu ISO 선택 → 오른쪽에 디스크 아이콘 클릭 → 제거(Remove)
 - 장치(Device) → 광학 드라이브(Optical Drives) →
 - 그다음 VM 화면으로 돌아가서 Enter 키를 눌러주세요.
 
완벽합니다 !
지금 화면은 Ubuntu 설치 후 처음 부팅 직후의 정상 로그 화면이에요.
화면에 보이는 메시지들은 다음을 뜻합니다:
Cloud-init v. 25.1.4 finished
→ Ubuntu가 부팅 시 cloud-init 초기 설정을 끝냈다는 뜻이에요.
즉, 이제 로그인할 준비가 끝난 상태입니다.
✅ 지금 해야 할 일

이제 로그인하면 됩니다 👇
화면 아래쪽에 보이는 프롬프트:
devstack login:
여기서 아래처럼 입력하세요:
login: stack
password: stack1234
(위 비밀번호는 설치 과정에서 설정한 값으로 입력하세요.)
💡 참고
-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 (보안 때문에 입력 중에도 * 별표도 안 떠요 — 정상이에요!)
 - 그냥 입력하고 Enter 누르면 됩니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이렇게 나올 거예요 👇

Welcome to Ubuntu 24.04.3 LTS (GNU/Linux 6.x.x x86_64)
stack@devstack:~$
이게 보이면 Ubuntu 설치가 완벽히 완료된 상태예요!
🔐 SSH 접속 설정 가이드 (Ubuntu Server 24.04 기준)


SSH는 가상머신(Ubuntu)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DevStack 설치 전후에 꼭 켜두면 관리가 편해요.
1. SSH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ssh
- Active: inactive (dead) → SSH 서버 꺼짐 상태
 - Active: active (running) → SSH 서버 실행 중 ✅
 
2. SSH 서버 설치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만)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y
💡 대부분의 Ubuntu Server 버전에는 기본 포함되어 있지만,
혹시 빠져 있으면 이 명령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SSH 서비스 자동 시작 및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now ssh
- enable: 부팅 시 자동 실행 등록
 - -now: 즉시 SSH 서비스 실행
 
📍 성공 시 아래처럼 출력됩니다: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ssh.service → /usr/lib/systemd/system/ssh.service.
4. SSH 서버 실행 상태 다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ssh
정상일 경우 아래처럼 표시됩니다 👇
Active: active (running)
5. 방화벽(UFW) 설정 (선택)
만약 SSH 접속이 막혀 있다면, 방화벽에서 허용하세요.
sudo ufw allow ssh
sudo ufw enable
sudo ufw status
✅ 완료 확인
이제 **호스트(Windows)**에서 SSH 접속 확인:
ssh stack@10.0.2.15
(※ IP는 VM에서 ip a로 확인한 값 사용)
- 로그인 성공 시 → “Welcome to Ubuntu” 메시지 출력
 - 실패 시 → 네트워크 어댑터나 방화벽 설정 확인 필요
 
4️⃣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하기
- OpenStack은 Fixed IP + Floating IP 필요
 
▪ IP 개념
- Fixed IP : 내부 통신용 (예: 10.0.0.0 대역)
 - Floating IP : 외부 접속용 (공인 IP 또는 공유기 DHCP 일부 대역)
 
▪ 공유기 활용
- DHCP 범위 일부 → Fixed IP
 - 남은 범위 → Floating IP
 
5️⃣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 PC Host IP : 192.168.0.1
 - VM IP : 192.168.0.x
 - Fixed IP : 10.0.0.0 대역
 - Floating IP : 192.168.0.128
 
Tip: 네트워크 구성을 미리 그려두지 않으면 DevStack 설치 시 오류/재설치 반복 가능성 ↑
'DevOps > Open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evStack-마지막편] DevStack으로 배우는 OpenStack 설치 실습 (0) | 2025.10.25 | 
|---|---|
| [DevStack 1편] 내가 직접 만드는 클라우드, OpenStack 한눈에 보기! (0) | 2025.10.25 | 
| Openstack .pot 파일 생성해보기! (0) | 2025.10.25 | 
| 본격 OpenStack i18n CI 구조 분석 ! (0) | 2025.10.25 | 
| WSL 설치 및 Ubuntu 설정 + zanata.ini 구성 + 번역 파일 Pull 받아오기! (3) | 20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