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변수는 정보를 저장하고 쓸 수 있게 해주는 '이름표' 같은 개념이다.
예를 들어 'food' 라는 변수를 만든 뒤, 그 안에 '감자', '고구마', '수박' 같은 정보를 넣어둘 수 있다.
'food' 라는 변수에 '감자'를 저장해두면, 코드 아무 곳에서나 'food'라는 이름으로 '감자'를 사용할 수 있다.
'food' 변수의 값을 '고구마'로 바꾸면, 코드의 다른 부분에서도 'food'라는 이름이 '고구마'를 의미할 수있다.
자료형
'서지희', '양찬홍', '장호진'은 문자.
11, 24, 97은 숫자.
컴퓨터에는 이처럼 여러 가지 형태의 자료가 있다.
이 자료들의 종류를 '자료형'이라고 부릅니다.
자료형에는 대표적으로 숫자, 문자,
그리고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논리형 등이 있다.
자바에서는 int, double, char, boolean 등으로 표현한다.
함수
변수가 값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면, 함수(function)는 명령들을 보관하는 역할이다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쓰고 있거나,
-프로그램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을 때 .
수학에서는 x라는 입력값을 넣었을 때, y라는 결괏값이 나오는 것을 함수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도 비슷하다.
입력값을 넣은 후, 그 값을 사용해서 필요한 동작을 하고, 출력값을 만든다.
함수의 입력값을 '파라미터' 혹은 '매개변수' 라고 부르며, 출력값을 '리턴값' 이라고 부릅니다.
함수는 대부분 ( )와 { }를 사용합니다. PrintName 이라는 함수 이름이 있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은 형태로 주로 사용합니다.
PrintName(파라미터) {
함수 동작
return 리턴값
}
함수와 자료형
위의 함수 형태를 자바 스타일에 맞게 조금 더 알아보자.
함수의 입력은 '파라미터', 출력은 '리턴값'이라고 했습니다.
자바에서는 함수의 입력은 어떤 자료형인지, 출력은 어떤 자료형인지 미리 정해줍니다.
그리고 맞지 않는 자료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죠.
그래서 자바는 함수의 형태가 조금 더 추가되어서,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리턴자료형 PrintName(파라미터자료형 파라미터) {
함수 동작
return 리턴값
}
'리턴자료형'과 '파라미터자료형' 자리에는 int, double, char, boolean 등의 자료형 이름이 들어간다.
배열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고 싶을 때도 있다. 이럴 때 배열을 사용한다.
배열은 주로 [ ]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코멘트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표시해주는 것 eg) //이코드는 dany가 작성했음
코드 사이에 메모 혹은 설명을 적기 위해 사용한다
'Back-end Skill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스터디 1주차 JVM의 동작과 원리 (0) | 2022.02.09 |
---|---|
Java #4 자바에서의 그 놈!!의 HelloWorld !! 구조 파해치기 (0) | 2021.11.18 |
Java #2 자바와 객체지향 . 객체! 객체!,, 객체지향이 중요하다고? 근데 그게 뭔데? (0) | 2021.11.18 |
Java #1 한 번만 작성하면, 어디서든 동작한다. from JVM (0) | 2021.11.18 |
TIL 30일차 개발일지_ Getter, Setter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