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의 종류에는 switch와 if문이 있다.
switch문 조건문 이해하기!!!
switch (대상) {
case 조건값1;
동작
break; //생략가능
case 조건값2;
동작
break; //생략가능
default;
동작
}
switch라는 키워드 뒤에 소괄호를 열어
비교할 대상을 작성하고,
중괄호로 블록문을 만든다.
블록문 안에 한 번 들여 써서
case 키워드를 작성하고
조건값을 입력한 뒤 **콜론(:)**으로
case문의 끝 지점을 구분해준다.
참고로 이렇게 쓰는 문장을 라벨문,
레이블문, lable statement라고 부른다.
case문 안에서, 해당 조건값과 일치했을 때
동작해야 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참고로 이렇게 쓰는 문장을 라벨문,
레이블문, lable statement라고 부른다.
case문 안에서, 해당 조건값과 일치했을 때
동작해야 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default라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콜론으로 default문을 구분한 뒤
한 번 들여 써서 모든 조건값들과 비교해서 일치하는 결과가
없을 경우에 필요한 동작을 작성하면 된다.
else문 같은 느낌으로, 반드시 필요한 구문은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생략도 가능하다.
let a =2;
switch(a) {
case 1;
console.log('a는 1입니다.');
case 2;
console.log('a는 2입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a는 1도 2도 아닙니다.');
}
위 코드는 a는 2입니다. 콘솔에 출력된다.
'Front-end 개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target 이벤트가 발생한 대상(요소) 얻기 (0) | 2022.06.10 |
---|---|
비전공자를 위한 Javascript_#1편 (4) | 2021.09.20 |
비전공자를 위한 Javascript_#0편 (0) | 2021.09.20 |